맨위로가기

진보당 (2017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보당 (2017년 대한민국)은 2017년 민중연합당과 새민중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정당이다. 2014년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해산된 통합진보당의 후신으로, 2020년 민중당에서 진보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2023년 재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 1명을 배출했으며, 202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석을 확보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전국민 고용보험제, 재벌 해체, 반미주의, 한반도 평화협정 등이 있으며, 노동 운동, 농민 운동, 빈민 운동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보당 (대한민국) - 진보당 조봉암 사건
    진보당 조봉암 사건은 1950년대 이승만 정권이 조봉암과 진보당 간부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탄압한 사건으로, 조봉암은 사형 집행 후 2011년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었으나 친일 의혹으로 독립유공자 서훈은 보류되었으며, 2020년에는 김일성의 진보당 지원 요청 관련 구소련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 진보당 (대한민국) - 진보당 (1956년 대한민국)
    진보당 (1956년 대한민국)은 1954년 사사오입 개헌 반대 세력을 규합하여 조봉암을 중심으로 창당되었으며, 사회민주주의와 평화통일을 주장하다가 조봉암의 간첩 혐의 기소로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 원내정당 - 개혁신당
    개혁신당은 2023년 이준석 전 대표의 창당 선언으로 시작되어 2024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입에 성공했으며, 중도적 이념 스펙트럼을 가진 인사들이 공존하며 다양한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운다.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 원내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 반자본주의 정당 - 반자본주의신당
    반자본주의신당은 2009년 프랑스에서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주도로 창당되어 21세기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반자본주의, 반인종주의, 생태주의, 페미니즘 등을 주요 이념으로 내세우는 반자본주의 정치 조직이다.
  • 반자본주의 정당 - 자유연합당
    자유연합당은 1970년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사회 정의 운동의 영향을 받아 창당되었으며, 버니 샌더스가 참여했으나 1977년 탈당했고, 2012년 주요 정당 자격을 얻었으며, 2021년 당명을 그린 마운틴 평화와 정의로 변경했다.
진보당 (2017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진보당
로마자 표기Jinbodang
한자 표기進步黨
다른 이름민중당 (과거 이름)
로마자 표기 (민중당)Minjungdang
표어든든한 우리편
창당일2017년 10월 15일
합병 대상새민중정당
민중연합당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10층 1001호
기관지너머
정책 연구소진보정책연구원
청년 조직청년진보당
당원 수95,000여 명
당원 수 연도2023년 3월
웹사이트진보당 웹사이트
진보당 트위터
진보당 유튜브
지도부
상임대표김재연
공동대표김창년
이대종
이경민
홍희진
장진숙
신창현
원내대표윤종오
사무총장신창현
정책위의장장진숙
이념 및 정치 성향
이념진보주의
민족해방
소수자해방
정치 성향좌익
색상
상징색(#D6001C)
의석 현황
대통령0/1
국회의원3/300
광역단체장0/17
광역의원3/872
기초단체장1/226
기초의원17/2988
기타
슬로건Always reliable and at our side ()
진보당 로고

2. 역사

2017년 10월 15일, 새민중정당민중연합당이 합당하여 민중당이 창당되었다.[7] 이는 통합진보당 해산 이후 민중연합당새민중정당으로 나뉘어 활동하던 세력들이 다시 통합한 것이다. 창당 당시 울산 지역 국회의원 2명을 보유하고 있었으나,[66] 2017년 12월 22일 윤종오 의원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1석으로 줄었다.[10]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기초의회 의원 11명을 당선시켰다. 그러나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의석 확보에 실패하여 원외정당이 되었고, 이후 당명을 '''진보당'''으로 변경하였다.[67]

2023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강성희 (정치인) 후보가 전주시 을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원내에 재진입하였다.[119][120][121] 이후 2024년 총선에서는 지역구 1석(울산 북구 윤종오 후보)과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2석을 확보하여 총 3석의 의석을 가지게 되었다.

2. 1. 창당 배경 및 과정

2017년 10월 11일, 새민중정당 이은혜 대변인이 기자회견을 열었다.[87] 다음 날인 10월 12일에는 민중연합당 인천시당과 새민중정당 인천시당 창당준비위원회가 합당 기자회견을 가졌다.[88]

2017년 10월 15일, 민중연합당새민중정당의 합당으로 민중당이 공식 창당되었다. 이날 오후 2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당원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당 대회가 개최되었으며,[65] 같은 날 서울시당과 울산시당도 창당되었다.[89]

2. 2. 주요 사건 및 활동

2017년 12월 22일, 윤종오 의원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하였다.[10]

2018년 7월, 민중당(진보당의 전신) 당원들이 중국에서 북한조선사회민주당 당원들과 통일부의 승인 없이 만나 국가보안법 위반 논란이 있었다. 정태흥 민중당 공동대표는 이 만남으로 인해 당이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고 밝혔다.[11]

2019년 8월, 민중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2019년 한국의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대한 전국적인 시위를 지지하였다.[12]

2020년 총선에서 민중당은 더불어민주당이 만든 비례대표 정당에 합류하려 했으나, 이념 문제 등을 이유로 거절당해 무산되었다.[13] 결국, 4월에 열린 총선에서 전원 낙선하여 원외정당이 되었다.

2020년 6월 20일, 민중당은 '''진보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67]

2022년 3월, 일부 당 관계자들이 북한의 지시를 받고 한국에서 활동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진보당은 이를 부인했다.[14] 2023년 1월, 윤석열 정부는 진보당 당원들이 북한 스파이로부터 지시를 받아 반미 및 반정부 활동을 기획했다는 혐의로 수사에 착수했고, 진보당은 이를 진보 정치 세력에 대한 탄압이라고 주장했다.[15]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윤석열 정부가 노동조합과 시민단체에 압력을 가하고, 방첩 수사를 통해 공안 통치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16]

2023년 4월 5일 재보궐선거에서 진보당은 전주시 을 지역구에서 강성희 (정치인) 후보가 당선되면서 원내에 진출했다.[119][120][121] 이 지역구는 더불어민주당 텃밭이었으나,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품 살포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했고, 더불어민주당은 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경우 재보궐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다. 해당 선거는 진보당, 국민의힘, 무소속 후보 4명(2명은 더불어민주당 출신)이 경쟁하는 6자 대결이었다. 진보당의 원내 복귀는 우익 보수 언론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 ''조선일보''는 진보당 일부 당원들이 친북 간첩 혐의를 받고 있으며, 통합진보당의 후신이라고 비판했다.[17][18] 반면, ''한겨레''는 더불어민주당의 ‘색깔론’ 전략으로 인해 진보당 후보가 의석을 확보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19]

2024년 총선에서 진보당은 3석(지역구 1석,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2석)을 확보했다.

2. 3. 역대 로고

3. 기반 및 이념

진보당은 민중당에서 당명 개정 투표를 통해 결정된 정당이다. 민중당은 반미주의, 반제국주의를 지향하고 한반도 통일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는 점에서 민족주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국내 공산주의자들도 이러한 특성을 공유한다. 또한, 당 강령에 별도의 성평등 강령을 추가하여 여성주의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90] 3대 운동(노동 운동·농민 운동·빈민 운동)에 기초한 좌익 정당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

진보당은 한국 언론에서 일반적으로 "극좌(極左)"[1][2][20] 또는 "급진 좌파"[21][22]로 분류되지만, 공식적인 이념은 "진보주의"이며, 반자본주의공산주의와 같은 극좌적 입장을 공식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다.[23][24] 진보당은 직접 민주주의를 지지하며, 이를 민중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30][25]

진보당이 한국 정치에서 극좌로 분류되는 주된 이유는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반대 입장에 있다. 진보당은 대한민국의 사회경제적 모순이 미국 때문이라고 보고, 미국의 한국 경제 지배에 반대한다. 이는 중국과 일본에 대해 적대적이지만 미국에 우호적인 더불어민주당이나 정의당과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진보당은 한미 동맹 해체를 주장한다.[26][27][28]

진보당의 기반은 노동 운동, 농민 운동, 빈민 운동이다. 진보당을 지지하는 노동조합으로는 민주노총이, 지지하는 농민단체로는 전농이 있다.

3. 1. 타 정당과의 관계 및 평가

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진보당(당시 민중당)의 선거 연합 제안을 "이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정당과의 연합은 어렵다"며 거절했다.[93] 민중당 내 일부 당원들은 더불어민주당을 "친미·반북 부르주아 정당"으로 규정하며 선거 연합에 반대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미국에 우호적인 외교 정책을 지지하는 반면, 진보당은 미국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한미 동맹 해체를 주장하는 등 외교·안보 정책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26][27][28] 이러한 이유로 더불어민주당 정치인들은 진보당의 반미 활동을 비판하기도 한다.[19]

정의당은 진보당과 일부 정책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외교·안보 정책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진보당은 미국에 대한 강경한 반대 입장을 취하는 반면, 정의당은 미국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한편, 정의당은 2019년~2020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중국 공산당을 옹호하는 듯한 진보당의 초기 논평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71]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정당들은 진보당을 통합진보당의 후신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한다. 이들은 진보당이 통합진보당을 재건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57]

노동당 등 다른 진보 정당들은 진보당과 일부 협력하기도 하지만, 노선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기도 한다. 특히 노동당은 진보당이 대한민국 내에서 자유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외교적 견해 차이로 인해 진보당보다 더 온건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8]

진보당은 2019년~2020년 홍콩 민주화 운동 초기에는 "홍콩은 중국의 일부"라며 시위대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중국 공산당을 옹호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70] 그러나 이후 당 인권위원회 논평을 통해 중국 정부의 강경 대응 및 폭력적인 진압을 규탄하며 노선을 수정했다.[72]

4. 구조

진보당은 당원들의 의사를 민주적으로 수렴하고,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여러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은 대의원대회이다. 대의원대회는 당고문, 상임대표 및 대표단, 계급계층조직 중앙 대표,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시·도 지역당 위원장 및 부위원장, 계급계층조직 시·도 대표 및 부대표, 선출직 중앙위원, 선출직 대의원 등으로 구성된다.[94] 대의원의 임기는 2년이며, 모든 당원에게 피선거권이 주어진다. 여성 50%, 장애인 5%의 최소할당제가 적용된다.[94] 선출직 대의원은 2년마다 열리는 정기대의원대회에서 당원에 의해 선출되며, 대의원대회는 강령, 당헌, 당규, 당 정책 결정, 당 지도부 선출, 합당 결정 등을 총괄한다.[94]

당 간부 양성을 위한 기관으로 중앙교육원이 있다. 중앙교육원장은 상임대표가 임명하고 중앙위원회의 인준을 받는다.[97]

진보당은 특정 계층의 목소리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하위 정당을 두고 있다.

정당명링크
진보당 여성-엄마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4 진보당 여성-엄마당]
진보당 노동자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3 진보당 노동자당]
진보당 농민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2 진보당 농민당]
청년진보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1 청년진보당]
진보당 빈민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5 진보당 빈민당]


4. 1. 지도부

역대 상임대표
대수이름임기
1김종훈, 김창한2017년 10월 15일 ~ 2018년 8월 25일
2이상규2018년 8월 26일 ~ 2020년 6월 20일
3김재연2020년 6월 20일 ~ 2022년 7월 31일
4윤희숙2022년 8월 1일 ~ 2024년 6월 14일
5김재연2024년 6월 15일 ~ 현재



역대 원내대표
대수이름임기
1윤종오2017년 10월 15일 ~ 2017년 12월 22일
2김종훈2017년 12월 22일 ~ 2020년 5월 29일
3강성희2023년 4월 6일 ~ 2024년 5월 29일
4윤종오2024년 5월 30일 ~ 현재



현 지도부 (2024년 6월 기준)
직책이름
상임대표김재연
원내대표윤종오

[65][67]

4. 2. 의사결정기구

진보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은 대의원대회이다. 대의원대회 대의원은 당고문, 상임대표 및 대표단, 계급계층조직 중앙 대표,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시·도 지역당 위원장 및 부위원장, 계급계층조직 시·도 대표 및 부대표, 선출직 중앙위원, 선출직 대의원 등으로 구성된다.[94] 임기는 2년이며, 모든 당원에게 피선거권을 부여하고 여성 50%, 장애인 5%의 최소할당제를 적용한다.[94] 선출직 대의원은 2년마다 열리는 정기대의원대회에서 당원에 의해 선출되며, 대의원대회는 강령, 당헌, 당규, 당 정책 결정, 당 지도 결정, 합당 결정 등을 총괄한다.[94]

4. 3. 중앙교육원

중앙교육원은 진보당의 당 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조직된 당내 기관이다. 중앙교육원장은 상임대표가 임면하고 중앙위원회에서 인준한다.[97]

4. 4. 하위 정당

정당명링크
진보당 여성-엄마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4 진보당 여성-엄마당]
진보당 노동자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3 진보당 노동자당]
진보당 농민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2 진보당 농민당]
청년진보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1 청년진보당]
진보당 빈민당[http://jinboparty.com/BRANCH/?l=PARTY05 진보당 빈민당]


5. 정책

진보당은 주로 비정규직 노동자, 농민, 영세 자영업자의 입장을 대변하며, 민주주의적 원칙이 지켜지는 선에서 사회주의 및 반(反)자본주의 성격을 갖고 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정책은 ‘전국민고용보험제’가 있으며, 그 외에도 비정규직 노동자, 농민, 영세 자영업자, 대학생, 주부, 경력 단절 여성, 장애인, 노인 등 특정 계층을 위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2] 이러한 정책들은 주로 2020년 총선 관련 정책들이나, 총선과 무관하게 진보당이 추구하는 기본 방향성에 기반한다.

5. 1. 경제 정책

진보당은 비정규직 노동자, 농민, 영세 자영업자의 입장을 대변하며, 민주주의 원칙이 지켜지는 선에서 사회주의 및 반(反)자본주의 성격을 갖고 있다. 주요 경제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전국민고용보험제: 노동 가능 연령의 모든 국민에게 고용보험을 적용하는 정책이다. 이상규 상임대표는 고용 안전망 확대를 통해 취약계층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사회적 취약 계층이 일자리를 잃거나 자영업자 소득에 악영향이 발생해도 지원금을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다. 진보당은 실업 후 최장 6개월, 최저임금 80% 수준의 소득 보전을 목표로 한다.[2]

  • 재벌 해체:
  • 규제개혁위원회를 해체하여 재벌 형성을 방지하고, 재벌을 해체한다.
  • 최대 재산 상속세를 도입하여 30억 원(250만달러) 초과 재산 상속을 제한하고, 초과분은 국가가 몰수한다.
  • 하청기업 대상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를 불법화하고, 대기업 중심의 유동가격결정제를 폐지하여 중소기업의 수익을 보장한다.[2]

  • 부의 재분배: 30억 원(250만달러)을 초과하는 상속에 대해 90%의 세율을 부과한다.[2]


진보당은 다국적 기업과 한국 경제를 지배하는 재벌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당의 공식 강령은 "초국적 자본 및 재벌의 독점경제를 해체"할 것을 제안한다.[29][30]

5. 2. 교육 정책

진보당은 서울대학교를 폐지하고 모든 대학을 국공립화하여 일괄적인 학제 개편을 통해 대학 서열화를 타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98] 동시에 모든 교육 과정을 무상으로 하여 경제적 취약 계층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함을 강조한다.[98]

5. 3. 노동 정책

진보당은 최저임금의 지속적인 인상과 최저임금 이상의 급여를 받는 모든 노동자가 지속적인 임금 인상을 할 수 있도록, 연 임금 협상 의무제 실시를 주장하고 있다. 또한 비정규직의 완전한 폐지를 목표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진보당의 노동 정책은 방대한데,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의 요구를 바탕으로 노동 관련 정책을 통일적으로 구현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현재 존재하는 비정규직의 노동3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노조 성립 의무화를 국가주도로 강제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46]

이 외의 특수한 정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인 이하 사업장 노동자도 야간수당, 휴일수당 적용, 부당해고 금지,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도 주휴, 연차, 공휴일 보장, 2년 후 정규직 전환 보장.
  • 노동 법원과 노사 사건에 대한 집단소송제를 신설하여 노사 문제 관련 사건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해결.
  • 대규모 구조조정시 사회적 협의기구 구성, 일방적 정리해고 불허, 외국인의 투기성 무리한 구조조정, 고율배당 제어를 실시.
  • 사용자 규정과 근로자 규정을 확대하고, 원청의 교섭 해태 시 부당노동행위 형사 처벌.
  • 원청 사업주의 책임 및 처벌 강화, 징벌적 손해배상 부과하는 ‘기업살인 처벌법’ 제정.

5. 4. 노인 정책

진보당은 노인이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사회적 활동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 정년 제도의 점진적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1] 2020년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 수는 약 58만 명인데, 장기요양기관 수는 약 24,000개이고 공공요양기관은 1.01%에 불과하다.[1] 따라서 진보당은 수요자 기준 30%의 공공요양시설 설치 및 사회서비스공단 설립을 주장하고 있다.[1]

이러한 정책 외에도 거주지원 서비스, 돌봄센터, 국공립 병원 및 보건소 확충 및 확대를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1]

5. 5. 농어업 정책

진보당은 2018년 겨울부터 주요 채소류를 중심으로 가격 폭락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으나, 정부가 농산물 가격 안정 정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은 농어업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99]

  • 국가 주도 농업 유통망을 수립하여 사적인 농산물 유통을 최대한 제한하고, 농민 수취 가격을 증대한다.[100]
  • 농민 등록제를 실시, 농어민 관련 모든 보험을 의무화하고, 보험비 전액을 국가가 지원한다.[101]
  • 농어민 수당제를 도입하여 월 30만 또는 그 이상의 지원금을 모든 농어민에게 지급한다.[102]
  • 농업중앙회장 조합원 직선제를 통하여 협동조합에 걸맞는 농업 생산 구조를 형성한다.[103]
  • 농촌 관련 개발 사업은 모두 농촌 주민의 동의를 거치도록 한다. 농촌 주민이 동의하지 않는 개발 사업은 금지한다.[104]
  • 농축산물이 주요 원료가 되는 식료 가공품에 대해 일차적으로 국산 농산물을 사용하게 한다.[105]
  • 대대적인 수매제(收買制)를 실시하고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농산물 공공 수급제를 안정적으로 실행한다.
  • 부재지주의 직불금 부당 수령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여 농민의 경작권을 보장하고 농지 국가 관리 체계를 확립하여 비농민의 농지 매입, 투기를 완전히 차단한다.[106]
  • 지역 농지관리위원회를 조직하여 농지 이용 실태 전수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투기 농지는 모두 몰수한다. 또한 지역 특성과 경제 여건에 맞는 농산물 수급 가격을 정할 수 있게 한다.[107]
  • WTO 농산물 수입을 중단하며, 농업에 희생을 강요하는 FTA 협정을 전면적으로 개정한다.[108]


진보당의 농업 정책은 식량 주권을 완전히 확보하고, 농어민의 소득을 보장하는 동시에 통일 후 남북 농업이 별다른 마찰 없이 이어질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6. 여성 정책


  • 각종 선출직 후보 추천 시 남성과 여성 동수로 절반 할당제를 도입한다.[109]
  • 공공기관의 장관급·국장급 구성원, 공기업·국립대학 교수, 국내 500대 기업 임원, 부장판사, 국가대표감독·코치 전체에 여성할당제 50%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승진 성비 공개제도를 도입한다.[110]
  • 반의사불벌죄 폐지, 성폭력 피해자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폐지, 가정폭력 가해자 체포우선주의, 대학 과정까지 성교육 의무화를 확립한다. 또한 꾸밈노동 금지에 관련된 법제를 도입하고,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 판단 기준을 확대하여 더욱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111]
  • 여성건강기본법을 제정하여 국가주도의 여성 건강 관리 체계를 확립한다.[112]
  • 의제강간 연령을 17세로 상향하고, 20세 이상 성인이 아동에게 선물이나 돈을 주는 행위 및 부모 동의 없이 만나는 행위를 처벌하고 성범죄 처벌 수위를 강화한다.[113]
  • 전업주부 등록제를 실시하여 주부에게도 국민연금을 지급한다.[114]
  • 지역구 국회의원, 지방의회, 비례대표 여성할당제를 강화하여 정치권이 여성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115]
  • 출산 전후 전체 유급 출산휴가를 보장하고, 육아 어려움이 집중되는 기간 1년여간 최소한의 육아와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제도를 신설한다.[116]

5. 7. 장애인 정책

진보당은 장애인에게도 최저임금을 보장하고, 장애인의 노동권과 이동권 확대를 주장하며, 장애인 대상 서비스의 국유화를 추진한다. 특히, 민영 체계에서는 담당 부서가 달라 장애인 업무의 통일성과 연계성이 떨어져 행정 서비스의 낭비와 비효율을 초래하고, 장애인 당사자에게 혼란과 불편을 야기한다고 비판한다.[117]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지원 사업비를 장애인에게 직접 지급하고, 장애인 관련 직종에 의료보험을 전면 적용하며, 수어 초등학교 의무교육을 시행하고, 남북 장애인 관계 교류를 활성화하며, 장애인 등급제를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8. 통일 정책

진보당은 군사 정책과 통일 정책을 하나로 묶어 보고 있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하며, 이는 종전 선언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오랜 갈등을 끝내야 한다는 것이다.[118]

또한 군사비 증강이 동북아시아의 긴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아, 단계적인 군사비 감축과 해당 예산을 민생 예산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118] 이와 더불어 한미동맹 폐지, 주한미군 철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118]

진보당은 북한 문제에 대해 '국가주의'가 아닌 '민족주의'적 관점을 취한다. 국가주의는 미국의 제국주의와 남북 분단을 수용하는 반면, 민족주의는 모든 한국인을 포용하고 외세의 제국주의에 반대한다고 주장한다.[30] 따라서 북한과의 재통일과 한국 전쟁의 공식적인 종전을 지지하며,[39][40] 북한에 대한 제재에 반대한다.[41] 또한 북한과의 화해 정책인 햇볕정책을 지지한다.[19]

한편, 진보당은 북한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중도 성향의 일간지 한국일보는 진보당을 '친북'으로 규정하기도 했다.[42]

5. 9. 외교 정책

진보당은 미국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한미 동맹 해체를 주장한다.[26][27][28][34][35][36] 이는 중국일본의 패권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에 다소 우호적인 더불어민주당 및 정의당과는 다른 입장이다. 진보당은 대한민국의 사회경제적 모순이 중국이나 일본이 아닌 미국 때문이라고 보기 때문에 미국의 한국 경제 지배에 반대한다.[26]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주의 잔재 청산을 주장하며,[30][53] 2019년에는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부 산하 정당인 조선사회민주당과 함께 일본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37]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 무기 지원에 반대하며, 윤석열 정부가 러시아를 자극하는 외교를 펼치고 있다고 비판한다.[38]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취하며, 북한에 대한 제재에 반대하고 햇볕정책을 지지한다.[19][41] 북한과의 재통일과 한국 전쟁의 공식적인 종전을 지지한다.[39][40]

2019년~2020년 홍콩 민주화 운동 초기에는 시위대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중국 공산당을 옹호하여 당내외 비판을 받았다.[70][71] 그러나 이후 노선을 수정하여 중국 정부의 강경 대응 및 폭력적인 진압을 규탄했다.[72]

6. 주요 선거 결과

wikitext

진보당은 주요 선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요 선거 결과
선거 종류결과
대통령 선거후보를 냈으나 낙선하였다.
국회의원 선거제21대 총선에서는 의석을 얻지 못했으나, 2023년 재보궐선거와 제22대 총선에서 각각 1석을 획득하였다.
지방 선거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광역 및 기초단체장 당선자를 내지 못했고, 기초의원 11명을 당선시켰다. 2022년 제8회 지방선거에서는 기초단체장 1명, 광역의원 3명, 기초의원 17명을 당선시켰다.
재보궐선거2023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전주을 국회의원 1석을 확보하였다.


6. 1. 대통령 선거

선거후보득표수득표율결과
2022년김재연37,3660.11%낙선


6. 2. 국회의원 선거

날짜결과비고
합계지역구비례대표정당 득표율
제21대2020년 4월 15일0001.05%개선 전 의석 수는 1석.
제22대2024년112더불어민주연합에 비례대표 후보를 냄.


6. 3. 지방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당선자를 내지 못했고, 광역의원 0석, 기초의원 11명을 당선시켰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기초단체장 1명, 광역의원 3명, 기초의원 17명을 당선시켰다.[1]

선거대표광역자치단체장광역의회기초자치단체장기초의회
2018년김종훈, 김창한
2022년김재연


6. 4. 재보궐선거

2023년 4월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강성희 후보가 전주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로써 진보당은 1석의 국회의석을 확보하였다.[1]

참조

[1] 뉴스 Parcel delivery union to hold rally demanding CJ Logistics negotiates with striking workers https://www.koreaher[...] 2022-02-21
[2] 웹사이트 [4·15 총선 앗싸①] '극좌'에서 '극우'까지{{nbsp}}... '배당금黨'에 '결혼당'도 출현 http://www.newsworks[...] 2020-01-26
[3] 뉴스 https://biz.chosun.c[...] 2020-06-20
[4] 뉴스 CJ Logistics criticized for death of part-timer https://www.koreatim[...] 2018-08-17
[5] 잡지 Confusion and Protests. How Seoul Reacted to President Trump Quitting the North Korea Summit https://time.com/529[...] 2018-05-25
[6] 뉴스 North Korea repeats unfounded claims COVID came from South in new booklet https://www.nknews.o[...] 2022-02-21
[7] 뉴스 http://www.incheonil[...] 2017-10-15
[8] 웹사이트 S Korea court orders dissolution of leftist party https://www.sandiego[...] 2014-12-19
[9] 웹사이트 Official court opinion (in Korean) https://www.ccourt.g[...]
[10]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Naver 2017-12-25
[11] 웹사이트 Jinbo Party may face fine for meeting NK party https://www.koreatim[...] 2018-07-26
[12] 웹사이트 Anti-Abe rallies to sweep Seoul on Liberation Day http://www.koreahera[...] 2019-08-14
[13] 웹사이트 https://www.asiae.co[...] 2020-03-18
[14] 웹사이트 [단독] 대대적 '국가보안법' 수사 나섰다…"북한 지령받아 국내 활동" https://news.jtbc.co[...] 2023-01-05
[15] 웹사이트 https://news.jtbc.co[...] 2023-01-05
[16] 웹사이트 https://m.khan.co.kr[...] 2023-01-11
[17]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3-04-07
[18]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3-04-07
[19]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3-04-06
[20] 뉴스 https://www.naeponew[...] 2020-04-01
[21] 뉴스 https://www.fnnews.c[...] 2020-08-23
[22] 뉴스 https://www.fnnews.c[...] 2020-11-15
[23] 웹사이트 Minjung Party press conference https://en.yna.co.kr[...] 2018-10-11
[24] 웹사이트 South Korea Backtracks on Easing Sanctions After Trump Comment https://www.nytimes.[...] 2018-10-11
[25] 웹사이트 http://www.newstof.c[...] 2020-04-14
[26] 웹사이트 [민중당 결의문] 한미동맹 파기하고 자주국가 건설하자 https://jinboparty.c[...]
[27] 웹사이트 https://www.tongilne[...] 2020-12-14
[28]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0-07-20
[29] 뉴스 http://www.mediatoda[...] 2020-08-05
[30] 웹사이트 https://jinboparty.c[...] 2024-01-18
[31] 웹사이트 http://socialist.kr/[...] 2022-05-27
[32] 웹사이트 https://www.hankyung[...] 2020-01-08
[33] 웹사이트 http://overseas.mofa[...] 2019-08-02
[34] 웹사이트 [민중당 결의문] 한미동맹 파기하고 자주국가 건설하자 https://jinboparty.c[...]
[35] 웹사이트 https://www.tongilne[...] 2020-12-14
[36] 웹사이트 트럼프 방문에 '국회 철통경호'…지하철역 출구·지하주차장도 폐쇄 https://www.chosun.c[...] 2020-07-20
[37] 웹사이트 민중당, 北조선사회민주당과 반일공동성명 발표(전문) https://www.tongilne[...] 2019-08-14
[38] 웹사이트 尹진보당 "우크라이나 살상무기 지원 발언 철회하라" [포토] https://www.hani.co.[...] 2023-04-22
[39] 웹사이트 노엄 촘스키, 램지 클라크 등 해외 진보인사 "민중당 출범은 민주화의 의미 있는 진전" https://vop.co.kr/A0[...] 2017-10-13
[40] 뉴스 김종훈 의원, 연방 상하원 방문 버니 샌더스 등과 회담 http://www.newsm.com[...] 2018-03-27
[41] 웹사이트 [보도자료] 김재연 후보, 유엔 총회 앞두고 "남북교류협력 가로막는 대북제재 해제하라" https://jinboparty.c[...]
[42] 뉴스 '통진당 그림자' 짙어지는 민주당 비례 위성정당... 이재명 대표 의중인가 https://www.hankooki[...] Hankook Ilbo 2022-06-27
[43] 웹사이트 노엄 촘스키, 램지 클라크 등 해외 진보인사 "민중당 출범은 민주화의 의미 있는 진전" https://vop.co.kr/A0[...] 2017-10-13
[44] 트윗 With Jinbo party. #RPCSouthKorea #Peace #Reconciliation https://t.co/eCc4zyXGzo 2018-07-24
[45] 뉴스 김종훈 의원, 연방 상하원 방문 버니 샌더스 등과 회담 http://www.newsm.com[...] 2018-03-27
[46] 뉴스 진보당 김재연 후보 공약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전면 전환하겠다" http://www.ohmynews.[...] 2021-12-12
[47] 뉴스 진보당 김재연 "8만 당원 중 절반이 비정규직, 노동중심 정치 세우겠다" https://www.vop.co.k[...] 2021-09-12
[48] 뉴스 특성화고 출신 만19세, 그가 지방선거 출사표 던진 이유 http://www.mediatoda[...] 2023-01-30
[49] 뉴스 진보당 인권위, '2023 페미싹수파릇파릇 페스타' 양일간 개최 https://www.womennew[...] 2023-02-17
[50] 뉴스 김재연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기 위해 출마했다" http://www.ohmynews.[...] 2021-12-24
[51] 뉴스 진보당 인권위원회 https://www.yna.co.k[...] 2018-12-04
[52] 뉴스 [김능구의 20대 대선후보 직격인터뷰] 김재연 진보당 대선후보② "'노동중심성' 세워 진보정체성·진보단결 해내는 새로운 게임체인저 될 것" http://polinews.co.k[...] 2021-12-08
[53] 뉴스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노래를 불렀다가 '죄인'이 되는 나라, 대한민국 https://www.hani.co.[...] 2020-05-26
[54] 웹사이트 '외국인 노동자'를 제물로 삼는 코로나19 전시행정 중단을 요구한다 https://www.peoplepo[...] 2021-03-21
[55] 웹사이트 S Korea court orders dissolution of leftist party https://www.sandiego[...] 2014-12-19
[56] 웹사이트 Official court opinion (in Korean) https://www.ccourt.g[...]
[57] 뉴스 민중당 오늘 출범... 옛 '통진당' 재건 논란도 http://www.yonhapnew[...] 2017-10-15
[58] 뉴스 "준비된 사회주의 후보, 공약만으로 충분한 지지 얻을 수 있다" http://www.newscham.[...] 2021-09-11
[59] 서적 진보주의 정치철학, 수운 최제우, 안토니오 그람시 https://books.google[...] e퍼플 2019-01-11
[60] 웹사이트 민중당 비례후보 누가 나왔나 http://www.newstof.c[...]
[61] 웹사이트 창당 1주년 맞이한 민중당 “진보집권·통일시대 함께 만들자” http://www.vop.co.kr[...]
[62] 뉴스 CJ Logistics criticized for death of part-timer https://www.koreatim[...] 2018-08-17
[63] 뉴스 Confusion and Protests. How Seoul Reacted to President Trump Quitting the North Korea Summit http://time.com/5291[...] 2018-05-25
[64] 웹사이트 S.Korean political parties' approval ratings mixed ahead of April parliamentary election: poll http://www.xinhuanet[...] 2020-01-16
[65] 뉴스 민중당 출범, 민중의 직접정치시대 열겠다'김종훈·김창한 대표, "촛불혁명 성과 이어받은 새로운 정치세력"(金ジョンフン・金チャンハン代表、"ろうそく革命の成果受け継いだ新たな政治勢力") http://www.tongilnew[...] 2017-10-16
[66] 문서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었다.
[67] 뉴스 민중당, 진보당으로 당명 변경..김재연 전 의원 상임대표 선출(民衆党、進歩党に党名変更。金在姸前議員を常任代表に選出) https://www.tongilne[...] 2020-06-22
[68] 웹사이트 민중당 "남북공조로 일본침략 맞서자"(民衆党「南北協力で日本侵略に対抗しよう」) http://www.geojeoneu[...]
[69] 뉴스 트럼프 방한 앞두고 줄 잇는 반미 선동(トランプ訪韓を控えて相次ぐ反米扇動) https://news.joins.c[...] 2017-11-06
[70] 웹사이트 ≪자주시보≫ 민중당 정책연구원 “홍콩 시위의 구호는 바뀌어야 한다” http://www.jajusibo.[...] 2019-08-31
[71] 문서
[72] 웹사이트 인권위원회 논평 홍콩 사태의 책임은 시위대가 아닌 공권력에 있다. https://jinboparty.c[...] 2019-11-20
[73] 웹사이트 전国民主労働組合総連盟 - 613地方選挙民主労総と進歩制、政党の地方選挙の共同要求案と民主労総候補、支持候補発表の記者会見 http://nodong.org/st[...]
[74] 문서 노동자당 대표
[75] 문서 농민당 대표
[76] 문서 빈민당 대표
[77] 문서 청년진보당 대표
[78] 웹인용 [보도자료] 진보당 1기 19차 대표단회의 모두발언 https://jinboparty.c[...] 2021-03-30
[79] 웹사이트 진보당 강령 2항 https://jinboparty.c[...]
[80] 웹사이트 진보당 강령 7항 https://jinboparty.c[...]
[81] 뉴스 CJ Logistics criticized for death of part-timer https://www.koreatim[...] 2018-08-17
[82] 뉴스 Confusion and Protests. How Seoul Reacted to President Trump Quitting the North Korea Summit http://time.com/5291[...] 2018-05-25
[83] 웹사이트 민중의 직접정치 표방 '민중당', 15일 서울광장서 광장출범식 진행 http://www.tongilnew[...]
[84] 웹사이트 민중당 출범식 전문 http://www.tongilnew[...]
[85] 웹사이트 노엄 촘스키, 램지 클라크 등 해외 진보인사 “민중당 출범은 민주화의 의미 있는 진전” http://www.vop.co.kr[...]
[86] 웹사이트 민중당 출범식 개최 http://www.ohmynews.[...]
[87] 웹사이트 1만명 모여 '민중이 정치 주인' 외친다 http://www.yonhapnew[...]
[88] 웹사이트 민중당 15일 출범 http://www.incheonil[...]
[89] 웹사이트 민중당 울산시당 창당…"진보집권 시대 열겠다" http://www.yonhapnew[...]
[90] 웹사이트 진보당 강령 http://jinboparty.co[...] 2020-06-20
[91] 웹사이트 《볼셰비키》. 민중당 창당에 부쳐 '환영하며, 경계한다.' http://bolky.jinbo.n[...] 2017-11-09
[92] 웹사이트 《노동자 연대》. 민중당 출범에 부쳐. https://wspaper.org/[...] 2017-10-17
[93] 뉴스 옛 통진당 출신 주축 민중당도 汎與 비례연합당 참여… 민주당선 난색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3-17
[94] 웹사이트 진보당 당헌 http://jinboparty.co[...] 2020-06-20
[95] 웹사이트 진보당 당헌 http://jinboparty.co[...] 2020-06-20
[96] 웹사이트 진보당 당헌 http://jinboparty.co[...] 2020-06-20
[97] 웹사이트 진보당 당헌 http://jinboparty.co[...] 2020-06-20
[98] 웹사이트 교육 - 교육 불평등 타파! 대학 서열화 해체! http://jinboparty.co[...]
[99]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0]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1]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2]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3]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4]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5] 서적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6] 간행물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7] 간행물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8] 간행물 계급계층 농민 민중당 2020-03-31
[109]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0]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1]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2]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3]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4]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5]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6] 간행물 계급계층 여성 민중당 2020-03-31
[117] 간행물 계급계층 장애인 민중당 2020-03-31
[118] 간행물 평화 통일 민중당
[119] 뉴스 [단독]‘원내 입성’ 진보당, 2분기부터 2억 원씩 받는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3-05-25
[120] 뉴스 4·5 재보궐 마무리…전주을에 진보당 '강성희' 당선(종합) https://www.news1.kr[...] 뉴스1 2024-01-28
[121] 뉴스 원내 재진입한 진보당, 2분기 정당보조금 2억7000만원 받아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4-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